Group 3: step by step guide for cats - DAFF
We aren't able to respond to your individual comments or questions. To contact us directly phone us or submit an online inquiry
www.agriculture.gov.au
과정은 위에 있는 호주 농수산환경부? 홈페이지에서 직접 가져왔습니다!
ISO11784,11785일 것!
999로 시작하는 번호는 식별 불가능이라 X
광견병 접종 확인서 발급해줄 수 있는 병원에서 하기!
종합백신은 7번에서도 권고라고 나오지만, 검역 절차가 나중에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ㅎㅎ
어차피 맞을 거면 비용 적게 드는 한국에서 최대한 빠르게 맞고 속 편하게 사는 거로!
+)호주 농수산환경부 홈페이지에는 84일 된 이상 된 아이여야만 한다고 써있지만
import permit 받는 사이트 bicon에서는 90일 된 아이여야만 한다고 써있다.
이번 개정의 핵심.
새로 추가된 조항이고 선택사항이라고는 하는데 거의 필수.
농림축산부에 미리 호주에 데려갈 거라고 말하고, 마이크로칩 인증 절차 과정을 거쳐야함.
농림축산부에서 스탬프 찍힌 문서를 받아야만 한다고.
이미 준비한 사람들은 3월 1일 전에 수입허가증 받기...ㅠㅠ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10일이던 계류기간이 30일로 늘어나서 계류비용 올라간다고 합니다.
(예상이지만 29불X20일 해서 한국돈으로 50만원 정도 더 나오지 싶...)
호주 정부에서는 30일 계류시 최소 계류 비용으로 2600불 잡고 있다.
얼마 올라갈 지 알 수 없는 계류비용도 계류비용인데 계류 기간 동안 반려동물이 받을 스트레스는...ㅠ^ㅠ
오늘(1월 30일)에 농림축산부에 전화해 본 결과, 사이트에는 30일 계류라고 적혀는 있지만 수입 허가증이 안 나오고 있다고 한다.
덕분에 호주 농림축산부에 이메일로 문의...ㅎㅎ;
사이트에는 3~4주 후를 얘기하고 있지만, 항체 검사는 한 달 뒤에 하는 게 안정적이라고 한다.
아무데서나 받은 항체 가검사 결과는 의미 없고, 정부에서 승인된 병원이나 실험실에서만 가능!
금액 알아본 결과 30만원 부르는 곳도 꽤 보임...ㅠㅠ
다른 분 블로그 검색 결과 11만원(일산 소노펫 동물병원)인 병원 있대서 그 쪽에 문의해볼 예정!
👉🏻12월 21일 문의 결과, 고양이가 호주로 갈 때 가검사 비용은 30만원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는 그냥 우리집 앞, 노원구의 은마로 동물병원(20만원대)에서 진행하기로.
항체가 검사 결과지 2년 유효에서 1년, 365일간 유효로 바뀜!
항체 검사 결과지에는
마이크로칩 넘버, 채혈한 날짜와 장소, 결과지 발행자의 사인, 항체 가검사 테스트 타입과 결과가 적혀있어야한다.
중요한 게 검사 결과지 나온 이후 180일 아니고 광견병 항체 가검사한 채혈일 기준 180일!
검사 결과는 채혈일로부터 21년 유효하다고 하니 계획에 따라 검사하자!
여기서부터는 전문용어 남발되는 구간이라ㅠㅠ 혹시나 제 번역에 오류가 있을까봐 영어 긁어옵니다.
원래 필요서류는
1. 광견병 접종 확인서
2.검사 결과가 0.5 IU/ml이상으로 나온 항체 가검사 결과지
이렇게 2개 였는데 망할 step 4가 추가되는 바람에 정보 확인이 필요하다고 한다.
수입허가증 유효기간은 항체가 검사 결과지 유효기간과 같아짐.
애초에 이렇게 확실하게 통일하지... 왜 이렇게 귀찮게...
Fees for cat and dog import permit applications - DAFF
We aren't able to respond to your individual comments or questions. To contact us directly phone us or submit an online inquiry
www.agriculture.gov.au
를 통해 확인 결과 고양이(or 강아지) 한 마리는 480불, 그 외 한 마리 추가당 240불이 더 들어간다.
예전에 본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 중 모 동물병원이 추가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걸 한 마리당 480불로 계산했다던데,
반려동물 여러 마리 키우시는 분들은 꼭 참고.
참고로 호주 480불은 한화 42만원 정도.
BICON - Import Conditions - Conditions
Import Conditions Search Import Questions Import Conditions Onshore Outcomes
bicon.agriculture.gov.au
여기가 수입 허가증 받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 되어있는데 슬슬 난관에 부딪히는...ㅎㅎ
항공사는 상관없고, 멜버른에 직항으로 도착하는 비행기여야함! (호주 내 다른 지역으로 가서 대륙 이송 안 됨.)
승인되지 않은 나라에 들렸다 오면 못 들어옴.
cabin 아니고 cargo칸 따기 때문에 업체 끼고 진행해야함.
업체 알아보려고 여기저기 문의 해봤는데 이 과정은 출국 2달 전부터 하는 게 맞다고 한다.
날짜가 너무 멀어서 비행 요금을 알기 힘들다고...
계류장이 어떻게 생겼는지 확인한 결과
고양이 계류장은 이렇게 생겼다고 한다.
밥도 주는데,혹시나 특별히 먹어야하는 사료가 있다면 폼 제출하면 된다고.
(절대 먹을 거 보내면 안되고 폼 제출)
장난감 꾸려진 고양이 계류장은 이렇게 생겼다.
recommend라고 되어있지만 한국사는 대부분의 고양이는 맞췄을 거다.
혹시 몰라서 백신 관련 영어 긁어왔다!
against feline enteritis (also known as feline panleucopenia or feline distemper), rhinotracheitis and calicivirus and is valid for the entire post entry quarantine period.
모르는 건 수의사 선생님과 상담하기><
Two treatments must be given at least 14 days apart and within 45 days before the date of export. The second treatment must be given within 5 days before the date of export.
계산해보니 첫번째는 출국 19일~45일 전에 해야하고, 두번째는 출국~출국 5일전에 해야한다!
첫번째와 두번째 사이에 14일 텀을 둬야한다니까...
각자 알아서 결정하는 거로 하고.
난 일단 뭐든 출국 가까운 날짜에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출국 3주 전에 한 번 하고, 출국 4일 전에 할 생각!
선충과 촌충(nematodes and cestodes)에 효과 있어야한다고 명시되어있다! (이건 수의사와 상담하기)
출국 3주 전부터 자주 하라고 명시되어 있음.
주의사항은 외부 기생충 검사, 치료한 날은 day1이 아니라 day0이라는 거!
만약 내가 12월 25일에 출국할 거면 21을 빼서 4일에는 기생충 치료 해야함.
벼룩이나 진드기 발견시 기생충 치료 처음부터 다시 시작.
Bravecto® (fluralaner), NexGard® (afoxolaner), Advantage Mulit® (moxidectin) and Revolution® (selamectin)
는 호주에서 보는 외부 기생충 기준에 맞지 않다고 합니다.
레볼루션 접종 노노노노노논...!
외부 기생충, 전염성 병 없다는 검사 결과지 가지고 있어야 함.
5번에서 받은 수입 허가증&각종 서류들, 수출 당국 기구의 사인이나 도장이 페이지마다 찍힌 검역 증명서(건강 증명서)랑 항체 가검사 결과지 필요.
복사본도 괜찮다고 써있기는 한데... 그냥 원본에 사인 다 받는 게 낫지...ㅎㅎ
제출 전 복사해서 가지고 있는 게 나을 것 같음.
멍청한 집사의 고양이 데리고 호주 가기 (멘붕) (0) | 2023.06.21 |
---|---|
드디어 광견병 항체가 검사 RNAT test 결과지 도착! / 고양이랑 호주로 (0) | 2023.01.27 |
고양이 데리고 호주(한국에서 호주로) 가기! 절차 밟는 중 (0) | 2023.01.17 |
고양이 데리고 호주로 가려면! (0) | 2022.12.12 |